입사를 하면 누구나 휴가를 생각하죠?? 정기 휴가가 있는 회사도 있겠지만, 없는 회사도 있죠? 없는 회사에서는 보통 자신의 연차를 이용하여 휴가를 생각합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도 정기휴가가 없기 때문에 연차를 사용하여 휴가를 가죠~~ 연차는 회사를 1년 이상 다닌 경우에만 발생한다고 들어봤죠? 그럼 1년이 안되었다면 연차는 없나요?? 아니죠. 입사 1년 미만 연차를 지급받는 조건 및 연차수당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노동자에게 주어지는 휴가 노동자에게 주어지는 휴가는 1년 미만 연차와 1년 이상 연차로 나눌 수 있어요. 예전에는 월차와 연차휴가로 나눴지만, 월차가 폐지되면서 1년 미만 연차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1년 미만 연차 발생 조건 1년 미만 노동자가 한달 개근을 하면 1개의 연차가 발생합..
월급이 일주일정도 남았는데, 갑자기 경조사비나, 급전이 필요할 때 어떻게 하시나요?? 신용카드가 있다면 현금서비스 생각나시죠? 근데, 무심코 받은 현금서비스 때문에 신용점수가 하락할 수 있다는 것 아시나요? 아니면 지인에게 부탁하는 방법이 있는데, 지인에게 부탁하는 것도 그렇죠? 그래서 오늘은 소액으로 가능한 비상금 대출인 카카오뱅크 비상금 대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출 종류 카카오뱅크 비상금 대출은 마이너스 통장 대출입니다. 가입 대상 카카오 뱅크 비상금 대출은 직업, 소득에 관계없이 아래의 기준을 모두 충족한 고객은 가능합니다. 만 19세 이상 내국인 연체, 부도정보 등 신용도 판단정보 등재 사실이 없는 고객 회생, 파산, 면책 등 신청 사실이 없는 고객 당행 연체대출금을 보유 중이거나 손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카드를 이용하죠. 예전에는 현금을 많이 사용했는데 말이에요.. 그때 지갑을 들고 다닐 때 현금이 많으면 부자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다양한 에피소드가 있었죠. 회사를 다닐 때 부회장 지갑에는 수표가 한가득... ㅋㅋㅋ 하지만, 요즘은 현금 많이 가지고 다니는 분 없잖아요. 거의다 카드를 갖고 사용을 합니다. 왜? 간편하니까요~~ 오늘은 신용카드의 결제일을 몇일로 하면 나에게 좋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드 결제금액은 전월에 사용한 금액??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한달뒤 날아오는 청구서에는 이번달 결제금액이 나와있죠. 그럼, 이 결제금액이 저번달에 쓴 금액이라고 생각하시죠? 근데 아닙니다. 왜? 결제일마다 이용기간이 다르기 때문이죠. 결제일별 이용기간 결제일 이용기간 결제일 이용기간 ..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죠?? " 나 오늘 야근", " 야근수당은 있니?" 등 야근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죠. 야근은 통상 연장근로와 야간근로를 총칭하는 개념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나와 있는 야간근로수당 지급과 계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야간근로 근로기준법에 야간근로는 22시부터 06시까지의 근로를 의미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연장근로와 야간근로는 다른데요, 8시간을 초과한 근로는 연장근로가 되고, 오후 10시부터 근로하는 것이 야간근로입니다. 밤 10시부터 아침 6시까지 일반 근로자는 자고 있는 시간이죠. 이 시간에 근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법에는 가산수당을 지급하라고 나와 있습니다. 야간근로수당 기준 1. 5인 이상 사업장에서만 적용 야간 수당은 모든 사업장에서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상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무엇이 좋을까?? 두 카드 장단점이 있겠죠??? 영업사원처럼 외근이 잦은 직장인에게 차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는데요~~~ 차를 이용하다 보면 누구나 주유나 충전을 해야 하죠. 그리고 주말에 집에서 벗어나 가족과 함께 나들이라도 갈 때 차가 있으면 편하죠. 이럴 때 좋은 카드 추천합니다. 삼성카드 taptap S 삼성카드 taptap S는 전월실적이 없어도 적립이 가능한 카드입니다. 연회비도 1만 원이면서, 주유 및 LPG 충전 시 2천 원 할인을 해주네요. 와~~~~ 우, 거기에 영화관 5천 원 할인까지~~~ 주유 및 충전 할인은 1일 1회이고, 월 최대 4회까지 가능합니다. 자세한 상황은 홈페이지 참조하세요^^ 우리카드 다둥이 행복카드 우리카드에서 나온 다둥이행복카드는 다둥이 가..
아르바이트 나 일용직으로 근무했던 기억이 있으면 주휴수당이라고 들어보셨죠?? 일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근로를 했다면, 근로자에게는 1회 이상 유급휴일을 줘야 합니다. 이때 유급휴일에 지급하는 수당이 주휴수당이죠^^ 주휴수당은 법으로 명시된 것이므로 만약 지급하지 않으면 임금체불로 신고하시면 됩니다. 요즘 물가가 많이 올랐고, 전기 및 가스세 인상, 수도세 및 심지어 대중교통 비용까지 인상이 되어서 많이들 힘들어하고 있는데요,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주휴수당이 부담이 되고 있어서 폐지해 달라고 하는 반면에, 아르바이트하는 근로자들에게는 꼭 필요한 수당이라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현재 최저임금 결정을 하기 위해서 노사정 및 공익위원들이 회의를 하고 있으니까, 지켜봐야 하겠죠?? 주휴수당 계산 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