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에 좋은 생강의 효능

무더운 여름이 지나가고 갑자기 쌀쌀해진 날씨에 감기환자가 많이 나타납니다. 감기에 좋은 차 많이 마시는데, 그중에서 생강차도 있습니다. 생강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약방의 감초처럼 사용되는 중요한 식재이죠. 특유한 알싸한 맛과 향으로 양념이나 소스의 재료 외 차나 디저트에도 활용되는 생강이 가지고 있는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강차
감기에 좋은 생강의 효능

 

생강

생강은 동남아시가 원산지이고 채소로 재배합니다. 동인도의 힌두스댄 지역이 원산지로 추정되며 중국에서 2,500여년 전에 쓰촨성에서 생산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이전부터 재배했을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고려사>에는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생강을 재배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고려시대 문헌인 <향약구급방>에 약용 식물의 하나로 등장합니다. 오늘날에는 전라북도, 충청남도 등지에서 재배를 하고 있고, 특히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서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생강의 효능

감기를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해 따뜻한 생강차를 마시죠. 이처럼 생강은 예로부터 약효가 뛰어나서 차로 즐겨마셨는데, 생강에 어떤 효능이 있을까요?

 

1. 감기예방에 좋다.

감기에 걸리면 생강차를 마시는데요, 왜 생강차을 마실까요? 생강에는 몸의 찬 기운을 밖으로 내보내고 따뜻함을 유지하여 감기 에방에 좋습니다. 생강에는 함유된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이 혈액순환을 활성화해 따뜻함을 유지하여 감기예방에 좋습니다.

 

2. 혈압과 수족냉증 개선

생강에 함유된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은 혈압과 체온이 정상화되어 수족냉증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3. 동맥경화나 고혈압등 성인병 예방

혈관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몸밖으로 배출해 혈관계 질환인 동맥경화나 고혈압등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적입니다.

 

 

 

살균 및 항균 작용 및 항암작용

생강에 있는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에는 살모넬라, 티푸스, 콜레라균등 살균에 효과가 있어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에 대한 살균 및 항균작용을 하고 항암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염증 진정 및 관절염 완화

생강은 과도한 면역체계를 진정시켜주는 항산화제로 인한 염증 진정 및 관절염 완화시켜 줍니다.

 

식욕증진 및 소화 흡수

생강은 위 점막 자극 및 소화액 분비 증가등 활발한 위장 운동으로 식욕을 증진하고 소화 흡수를 도와줍니다.

 

멀미 개선 효과

생강은 구토 증상, 메스꺼움, 울렁임을 완화해 주며 멀미약보다 2배가량 높은 멀미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생강 고르는 방법

생강을 고를 때 전체적으로 굴곡이 적고 매끄러우며 상처가 없는 것, 그리고 육질이 단단하고 껍질은 얇으면서 황토색을 띠는 것이 좋습니다. 한 덩어리에 여러 조각이 붙어 있는 것, 고유의 매운맛과 향기가 강한 것이 좋은 생강입니다.

 

반면 색이 탁하고 줄기가 가늘면서 어린 뿌리가 있는 것은 영양이 떨어지는 것이고, 검은 반점이 있거나 부분적으로 썩는 생강은 피해야 합니다. 왜냐하며, 생강은 섬유질이 많다 보니 일부분이 썩었다 해도 그 속에 포함된 곰팡이과 독소가 전체로 퍼져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강이 썩었거나, 곰팡이가 피었다면 곰팡이 색소인 아플라톡신은 강력한 발암물질이므로 저장해 둔 생강이 부분적으로 썩거나 곰팡이가 피었다면 고민할 필요 없이 버려야 합니다.

 

국산 생강 VS 수입 생강

종류 구분법
국산 - 진한 황토색을 띠며 표면이 거칠다.
- 표면에 흙이 묻어 있다.
- 한 덩어리에 작은알이 여러 개 붙어 있다.
- 알이 작고 덩어리가 작다.
수입 - 연한 갈색으로 표면이 매끄럽다.
- 물로 세척되어 겉이 깨끗하다.
- 한 덩어리에 큰 알이 적게 붙어 있다.
- 알이 굵고 덩어리 형성이 크다.

 

 

 

이상 생강의 효능 및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생강을 드시면서 감기예방을 했으면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합의 효능  (2) 2023.10.07
'바다의 우유' 굴의 효능  (2) 2023.10.06
고구마 영양 및 효능  (1) 2023.10.05
토마토 효능 및 부작용, 제대로 먹는 방법  (2) 2023.09.18
토스 병원비 돌려받기  (1) 2023.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