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그맨 이용식이 고혈압으로 한쪽 눈이 실명되었다는 이야기 들어보셨나요?
어제 채널A '오은영의 금쪽상담소'에 49년차 개그맨 이용식과 딸 이수민 부녀이 고민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이수민은 아빠 이용식이 현재 초고도비만, 고혈압, 뇌경색, 심지어 고혈압으로 한쪽 눈이 실명되었다고 이용식의 건강상태를 알렸죠.
- 고혈압이란? -
'소리없는 죽음의 악마'라는 별명을 가진 고혈압.
고혈압은 동맥벽에 대한 혈액의 힘이 지속적으로 높은 만성 의학적 상태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것은 동맥을 손상시키고 심장병, 뇌졸중 및 신장병과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합니다. 혈액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낼 때 가장 높은데, 이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또한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가장 낮은데, 이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30%가 이러한 혈압이 높아진 증상인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음은 대한고혈압학회와 미국심장학회의 혈압의 기준입니다.
① 정상 혈압 :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확장기 혈압 80mmHg 미만
② 고혈압 전 단계 : 수축기 혈압 120~13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80~89mmHg
③ 1기 고혈압(경도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40~15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90~99mmHg
④ 2기 고혈압(중등도 이상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6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 100mmHg 이상
- 고혈압 예방 -
- 적정 체중 유지 : 과체중이나 비만은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건강한 식단 섭취: 나트륨, 포화 지방 및 트랜스 지방, 첨가당이 적고 과일, 채소, 통곡물 및 저지방 단백질이 풍부한 식단을 섭취하면 고혈압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알코올 섭취 제한 : 과도한 음주는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적당량 이하로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신체 활동: 규칙적인 운동은 혈압을 낮추고 전반적인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스트레스 관리: 만성 스트레스는 고혈압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명상, 요가 또는 심호흡과 같은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고혈압에 좋은 음식 -
고혈압이 있는 경우 나트륨이 적고 칼륨, 섬유질 및 기타 필수 영양소가 풍부한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에 좋은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잎이 많은 채소: 시금치, 케일, 콜라드 그린과 같은 잎이 많은 채소는 칼륨이 풍부하여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베리류: 블루베리와 딸기와 같은 베리류는 염증을 줄이고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항산화제가 풍부합니다.
통곡물: 귀리, 현미, 퀴노아와 같은 통곡물은 섬유질이 풍부하여 혈압을 낮추고 전반적인 심혈관 건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저지방 유제품: 우유, 요거트, 치즈와 같은 저지방 유제품은 칼슘의 좋은 공급원이며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생선: 연어, 고등어, 참치와 같은 지방이 많은 생선은 염증을 줄이고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합니다.
견과류와 씨앗: 아몬드, 호두, 치아씨드와 같은 견과류와 씨앗에는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마그네슘, 칼륨 및 기타 필수 영양소가 풍부합니다.
감자: 감자에는 칼륨이 많아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지만 소금이나 고지방 토핑을 추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고혈압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지금의 건강이 계속 가지는 않습니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꾸준하게 운동하는 것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에 비예보 때문에 판매량 폭증한 레인부츠 주의해야할 사람은?? (3) | 2023.06.14 |
---|---|
일본 뇌염 원인, 예방법, 백신등에 대해서 (4) | 2023.05.22 |
브루가다 증후군(brugada syndrome)에 대해서 (44) | 2023.05.10 |
지루성 두피염 원인, 예방, 머리감는 법, 샴푸에 대해서 (10) | 2023.05.08 |
유산균에 대한 정의, 효능, 장단점, 섭취시 주의사항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