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나물의 제왕! 두릅에 대하여~

봄이 되면 우리 몸은 길고 긴 겨울을 보냈기 때문에 나른해지는데요, 바로 춘곤증이 찾아옵니다. 그래서인지 봄이 되면 피곤해지는데, 여러분들은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우리 조상들은 봄나물들을 가지고 해결을 했습니다. 봄이 되면 겨울 동안 떨어진 면역력을 회복하고, 춘곤증을 이기기 위해 제철나물인 봄나물을 먹었죠. 특히 두릅의 향은 봄을 선사하고, 이름만 들어도 입속에 향기기 나는 것 같습니다. 봄나물의 제왕인 두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따뜻하고 나른한 봄날에 입맛이 없을 때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없어졌던 입맛이 돌아오는 봄나물의 제왕 두릅! 두릅에는 어떤 영양성분과 효능이 있을까요?

 

1. 기근 및 비만의 해결책 - 두릅

과거에는 기근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영양결핍에 들었습니다. 즉, 먹을 것이 없던 시대가 있었죠. 기근에서 '기(饑)'는 곡식이 여물지 않아서 생기는 굶주림이고, '근(饉)'은 채소가 자라지 않아서 생기는 굶주림이죠. 여기서 채소의 중요성이 나옵니다. 채소가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선조들은 산과 들에 나는 나물을 가지고 영양소를 보충했는데요, 그중에서 가장 으뜸인 나물이 바로 두릅입니다. 지금은 먹을거리가 넘쳐나 영양과잉이 문제가 되어 기근의 해결책이 아닌 비만의 해결책으로 화려하게 부활을 하고 있죠. 

 

2. 두릅의 종류(나무두릅(참두릅)과 땅두릅)

두릅은 두릅나무에 달리는 새순을 말하는데요, 독특한 향이 일품입니다. 두릅에는 땅두릅과 나무두릅이 있는데요, 땅두릅은 4월에서 5월에 돋아나는 새순을 땅을 파서 잘라낸 것이고, 나무두릅은 나무에 달린 새순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두릅은 10여종으로 봄철의 어린순을 먹죠. 두릅을 한문으로는 '목두채(木頭菜)라고 하는데, 나무의 머리 채소라는 뜻이죠. 자연산 두릅은 4 ~ 5월에 잠깐 동안 먹을 수 있는데, 요즘은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를 하기도 합니다. 

나무두릅(참두릅)과 땅두릅
나무두릅과 땅두릅 - 네이버 블로그 '잘하고 살자' 그림 참조

 

나무 두릅은 새순이 한 곳에 몰려있고, 땅두릅은 새순이 듬성듬성 나있습니다. 그리고 밑동도 보시면 나무두릅은 꽃봉오리처럼 싸여있고, 땅두릅은 밑동이 분홍 빛으로 칼로 자른 모양입니다. 맛도 차이가 많이 나는데, 향은 나무두릅이 더 강하고 맛도 훨씬 좋아요. 당연히 가격도 땅두릅에 비해 비싸고요~~

 

 

 

3. 두릅의 효능은 무엇이 있을까요?

두릅은 단백질이 많으며, 섬유질과 칼슘, 철분,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등이 풍부한 나물이죠. 

1. 혈액순환에 좋아요.

두릅을 먹을 때 쌉쌀한 맛을 느끼는데, 이는 사포닌 성분이 있어서 그래요. 사포닌 성분은 혈액순환을 도와주고, 혈중지질을 낮추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혈당조절에 좋아요.

두릅에 들어있는 사포닌 성분을 혈당을 조절해주기 때문에 당뇨 환자들에게 좋습니다.

 

3. 다이어트에 좋아요.

두릅은 다른 채소에 비해 단백질이 아주 많고, 비타민 A와 C, 칼슘과 섬유소질 함량이 높아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식품이죠. 그래서인지 먹을 것이 풍부한 현대인들에게 비만의 해결책이 되는 식품입니다.

 

4. 피와 정신을 맑게 해줘요.

두릅은 간에 쌓인 독소를 풀어내는 효능이 있어서, 피와 정신을 맑게 해 줍니다.

 

5. 항암효과

두릅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손상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 암세포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암예방에 좋습니다.

 

6. 항염증 효과

두릅에 들어 있는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카테킨등이 성분이 염증을 완화하고,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7. 피로해소 및 면역력 증진

두릅에 들어 있는 단백질 비타민 B1, B2, C가 풍부하여 피로해소와 면역력 증진에 좋습니다. 체력을 회복해야 하는 사람, 고령자, 면역력이 약한 사람, 성인병이 있거나 예방을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아주 좋은 음식이 바로 두릅니다. 

 

 

 

4. 두릅의 부작용

1. 두릅 새순에는 소량의 독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꼭 데쳐서 먹어야 하고, 너무 많이 먹지 않아야 해요. 그리고 두릅나무껍질을 차로 먹는 사람이라면 복용량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왜? 두릅나무껍질에도 독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2. 두릅은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과다 섭취 시 설사나 복통을 일으킬 수 있으니까, 주의를 해야 합니다. 

 

3. 두릅을 처음 먹는 사람이라면 소량을 먹고 나서 몸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4. 두릅을 먹는 방법

두릅을 먹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숙회이죠. 두릅을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는 것이 가장 흔한 방법이지만, 이외에 잡채, 김치, 튀김, 장아찌등 다양한 요리에 어울리죠. 두릅의 쓴맛은 몸에 좋은 성분이지만, 거슬린다면 끓는 물에 데쳐서 찬물에 담가두면 쓴맛이 제거가 되고요, 삶은 두릅을 상온에 오래 두면 색이 변하기 때문에 오래 보관하고 싶으면 소름에 절이거나 얼리면 됩니다.

 

5. 두릅을 고르는 방법

두릅을 고를 때는 연하고, 굵은 것이 좋고, 잎이 피지 않는 것, 껍질이 지나치게 마르지 않고, 향기가 강한 것이 좋습니다. 

 

이상 두릅의 종류, 두릅의 효능 및 부작용, 두릅을 먹는 방법,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두릅 숙회
두릅 숙회 - 네이버 참조

 

지금이 두릅을 먹을 수 있는 최고의 시기이니, 맛있는 두릅을 먹으면서 건강하게 지내보아요^^